728x90

오늘 오후 2시 창원컨벤션센터 600A 회의실에서 경상남도 사회대통합위원회 2기 출범식이 진행되고 있다.

728x90

'자치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운의 랜덤박스 이벤트  (34) 2025.01.04
MBC경남 국민소환 관련 인터뷰  (18) 2024.12.19
경남MBC 인터뷰  (70) 2024.12.11
경남도지사 표창장 받다  (50) 2024.11.26
경상남도 사회대통합위원회 성과보고회  (48) 2024.11.25
Posted by 산해정
728x90

0

아내가 2만원을 내고 선택한 2개의 박스에 담긴 분청도자기, 2개는 점심식사 때 그릇으로 사용했다. 모두 6개임.

김해분청도자전시판매관에서 2025년 새해를 맞아 "행운의 랜덤박스"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참가비 10,000원을 내면 만원부터 십만원 상당의 도자기가 들어있는 박스를 고를 수 있다.

문자를 받고 김해분청도자전시판매관을 찾았다. 분청도자기 축제기간이 아니면 시민들이 잘 찾지 않을 텐데, 이런 이벤트는 김해 분청도자기의 홍보와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좋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2012년도 김해발전연구원으로부터 "분청도자기축제 육성 및 도자산업의 장기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용역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김해발전연구」제16권 제1호(2013. 3.) 에 게재한 바 있다.

당시 일본 규슈대학교에서 연구년을 보내면서 이마리와 아리따 도자기 마을을 방문하여 일본도자기의 현황 등을 살펴보면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연구를 통해서 전달하고 싶었다. 당시 연구보고서를 작성하면서 MBC 드라마 불의 여신 정이(백파선), 그의 남편 심해종전에 대해서도 깊이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전남 강진의 청자축제 현장도 방문하여 김해분청도자기 산업의 발전 방안과, 분청도자기축제와 관련해서도 일본과 전남 강진의 사례를 통해서 시사점을 제시하려고 노력했었다.

아마 지금 진례분청도자기 마을의 단장과 축제의 충실화도 나의 보고서가 어느 정도 긍정적인 역할을 했으리라 자평한다. 실제로 자세히 들여다 보면 내가 제시했던 보고서의 내용 중에는 국내외 어디서도 제시되지 않았던 사실도 담겨져 있다.

법학자가 무슨 도자기 연구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내가 살고 있는 고장에 대한 애정과 평생 지방자치법을 연구하고 지방분권을 고민한 학자로서 충분히 연구할 수 있는 영역이었다고 생각한다.

우리도 2만원을 내고 선택한 박스에는 모두 6개의 접시가 들어 있었다.

아래의 내용은 행사를 알리는 문자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여러분도 시간을 내어 방문하셔서 행사에 참여하시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 준비된 물품이 소진 시 조기 마감 될 수 있습니다.
※참가비 결제는 현금 또는 계좌이체만 가능합니다. (카드결제 불가)

▷ 기간: 2025년 1월 3일(금)~12일(일)
▷ 일시:10:00~17:30
▷ 장소: 김해분청도자전시판매관 1층 이벤트홀
☎ 055) 345 - 0971

728x90
Posted by 산해정
728x90

https://youtu.be/DF0iUm7G6So?si=2l_ZbtTU1kghJcRk

어제 오후 기말고사 시험감독을 마친 오후 1시 무렵, MBC경남 박종웅 기자님이 카메라팀과 연구실을 방문해 국민소환법 제정의 필요성과 그 당위성에 관한 인터뷰를 했다. 비상계엄 이후 벌써 3번째다.

뉴스 카메라에는 간단한 한 문장 밖에 담기지 않는다. 기자의 멘트에 많은 내용들이 들어 있으니, 전문가들은 기자 취재의 근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728x90
Posted by 산해정

2024. 12. 11. 20:46 자치분권

경남MBC 인터뷰

728x90

오늘 오후 3시 경남MBC 인터뷰가 있었다. 지방자치법에는 주민투표제, 주민발안제, 주민소환제 등 직접민주주의적 제도가 모두 도입되었음에도, 헌법 차원에서는 이들 제도 중 국민투표제도만 제도화되어 있다.

지방분권운동 시민단체나 학자들이 헌법 개정을 통해 국민발안, 국민소환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해왔지만 아직 제도화되지 못했다.

지난 번 국회에서 국민의 힘이 윤석열 탄핵소추 의결에 조직적으로 불참하는 모습을 주권자 국민들은 가슴 졸이며 지켜보았다. 아마도 국민소환제가 제도화되었더라면 이런 일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주권자 국민이 소환할 수 있었을 테니까, 또 그들은 그것이 두려워 그런 짓을 결코 할 수 없었을 테니까...

관련기사 : https://youtu.be/d7p1roULSQA?si=8hpdehPAZvpMCzTo

728x90

'자치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운의 랜덤박스 이벤트  (34) 2025.01.04
MBC경남 국민소환 관련 인터뷰  (18) 2024.12.19
경남도지사 표창장 받다  (50) 2024.11.26
경상남도 사회대통합위원회 성과보고회  (48) 2024.11.25
김해시사 시민토론회  (14) 2024.11.11
Posted by 산해정
728x90

어제 오후 2시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있었던 2024경상남도사회대통합위원회(위원장 최충경) 성과보고대회에서 위원회 활동을 열심히 하였다는 이유로 여러 위원들과 함께 경상남도 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정년을 얼마 남겨놓지 않은 원로 교수가 상을 받아 무슨 의미가 있겠나 싶어서 필요한 공무원들이나 젊은이에게 주라고 했지만, 많은 분들이 이미 수상하였다고 해서 알았노라 하고 공적조서를 제출하였다.

가는 곳 마다, 활동하는 곳 마다 상을 받게 된다. 상복이 많은 것인지, 아님 모든 일에 열심인 나의 성정 탓인지는 모르겠으나, 여하튼 그랬다.

아래는 내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지금까지 받은 상의 내용이다.

[표창]

․ 인제대학교 사회봉사 우수교수 표창(2004년)
․ 인제대학교 연구우수 교수 표창(2003년)
․ 환경부장관 표창(2000년)
․ 김해YMCA 이사장 표창(2000년)
․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우수회원상(2014년)
․ 김해시장 표창(2020.12.31)
․ 홍조근정훈장(2022.11.11.)
․ 경남도지사표창(2024.11.25.)


728x90

'자치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C경남 국민소환 관련 인터뷰  (18) 2024.12.19
경남MBC 인터뷰  (70) 2024.12.11
경상남도 사회대통합위원회 성과보고회  (48) 2024.11.25
김해시사 시민토론회  (14) 2024.11.11
지방교부세 또 삭감  (12) 2024.11.07
Posted by 산해정
728x90

오늘 오후 2시부터 창원시 컨벤션센터 6층 600A호에서 경상남도 사회통합위원회 성과 보고회가 있었다. 나는 제3분과 교육/청년분과에 소속되어 이 분야에 대해 경상남도와 국가의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들을 찾기 위해 소속 위원들과 열심히 위원회 활동을 했다. 제1기 위원회는 11월로 끝이 나고, 제2기 위원회가 구성되어 활동을 하게 된다.

관련기사 :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41125_0002971628

"화합·소통" 경상남도 사회대통합위원회, 2년 성과 보고

분야별 도민 통합 '2차 권고안' 도지사에게 전달

mobile.newsis.com

728x90

'자치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MBC 인터뷰  (70) 2024.12.11
경남도지사 표창장 받다  (50) 2024.11.26
김해시사 시민토론회  (14) 2024.11.11
지방교부세 또 삭감  (12) 2024.11.07
김해시사토론회  (12) 2024.11.02
Posted by 산해정
728x90

https://youtu.be/HsBRJBa22ys?si=bS3kwn94k5jyNsMJ

오늘 오후 1시부터 김해국립박물관 대강당에서 시작된 김해시사 시민토론회가 오후 5시 20분이 되어서야 마쳤다. 가야사 부분 집필과 관련하여 식민사관에 의해 서술이 왜곡되었다는 역사시민단체와 불교단체의 강한 문제제기로 시사 발간이 지체되고 있었는데, 오늘 우리지역 민홍철 국회의원과 김정호 국회의원이 공동으로 시민토론회를 주최하여, 이 자리가 마련되었다.

김해시사편집위원회 측과 역사시민단체 측 주장이 너무나 명료하게 의견이 대립되어 있고 토론회장에서도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서로의 의견이 다르더라도 일단은 들어보고 논거를 제시하여 반박하고, 또 설득하고 타협을 해나가는 것이 성숙한 민주시민의 자세이다.

나는 오늘 시민토론회의 좌장을 맡아서 토론회를 이끌었다. 예정된 시간보다 무려 1시간 이상을 훌쩍 넘긴 그런 토론회였다.

고대사는 문헌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발굴된 유물들에 대한 철저한 고증을 토대로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서술되어야 하겠지만 그것이 결코 쉽지 않다.

특히 우리의 경우에는 일제 36년간의 일제식민통치기간이 있었고, 실질적인 근현대적 학문연구도 일천하기 짝이 없다. 실질적인 근대 학문연구는 해방 이후부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터이다.

더구나 일본 식민통치기간 동안 한반도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일본서기 등 기존의 자료도 왜곡했을 소지도 없지 않을 것이다.

더구나 가야사 관련 연구분야는 근대학문 연구의 역사가 긴 일본학자들의 연구논문들이 많이 축적되었을 것이고, 가야사 연구의 불모지라 할 수 있는 한국에서 가야사 연구를 수행하는 학자들은 일본 문헌들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일본 학자들 중에는 학자로서의 자질을 갖춘 이들도 많겠지만, 일본의 극우주의자들의 입장을 지닌 학자들도 없지 않을 것이고, 일본이라는 국가적 이익에 경도된 학자들 역시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역사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또 중립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기록과 자료가 충분한 근현대사라 할지라도 당시 지배계급의 입장을 반영한 기술이 될 가능성이 크고, 사관이나 가치관에 따라 역사기술의 방향이 좌지우지될 수 있을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아무리 역사학자라 해도 기록이나 유물 등을 단정적으로 해석하고 규정하는 일은 삼가야 할 것이다. 시민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견해도 충분히 반영하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것이 어떤 지역의 시사라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오늘 토론회에서 논박된 부분들도 충분히 반영하여, 시민 다수가 수용할 수 있는 그런 김해시사로 탄생할 수 있길 기대한다.

관련기사 :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18314

'일본서기' 인용하면 무조건 식민사관? 따져보면 사실 아냐

지난해 9월 유네스코가 국내 7개 가야고분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가야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오는 9월 김해에 국립가야역사문화센터도 개관을 앞두고 있습니다. 가

www.idomin.com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420058

“김해시는 가야사 왜곡 중단하라” - 불교신문

가야문화진흥원(이사장 도명스님)이 김해시의 기야사 왜곡을 규탄하는 성명을 11월4일발표했다.성명서에서 가야문화진흥원은 “현재 김해시가 추진하고 있는 김해시사(金海市史)) 중 2권 ‘가

www.ibulgyo.com

http://www.gimha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028

식민사관 논란 '김해시사' 토론회 열린다 - 김해뉴스

식민사관 인용과 가야불교 왜곡 논란에 휩싸인 \'김해시사\'에 대한 정책토론회가 11일 오후 1시 국립김해박물관에서 열린다.민홍철·김정호 국회의원 공동주최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는 \'김해시

www.gimhaenews.co.kr

http://www.gn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551448

김해시사 시민토론회에 부쳐 - 경남매일

말도 많고 탈도 많던 김해시의 역사서 `김해시사(金海市史)`에 대해 오는 11일 오후 1시 김해 박물관에서 공개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김해시의 역사에 관심을 가진 시민과 국민의 요

www.gnmaeil.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889032?sid=102

김해시사 가야사 역사 왜곡 7년 논란 11일 토론회 연다

가야사 관련 시민단체들이 김해시사가 가야사를 왜곡하고 있다며 발간을 전면 중지하고 수정하라는 요구에 장기간 논란을 빚고 있다. 이에 김해시는 11일 토론회에서 제안된 여러가지 문제를

n.news.naver.com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6330

"가야불교 왜곡하는 '김해시史' 폐기하라" - 현대불교

(사)가야문화진흥원 (이사장 도명스님)이 김해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김해시사(金海市史)의 폐기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사)가야문화진흥원과 은하사, 장유사, 흥부암, 해성사, 연화사,

www.hyunbulnews.com

https://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25814

가야문화진흥원, ‘왜곡된 김해시사 폐기 촉구’ 성명서 - 법보신문

경남 김해시가 추진하고 있는 역사서 ‘김해시사(金海市史)’ 중 2권 가야편의 내용이 가야사와 불교사를 왜곡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김해를 비롯한 지역 불교계에서 높아지는 가운데 사단법

www.beopbo.com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446422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835820?sid=102

김해 ‘가야사’ 공개토론회…“식민사관 배제해야”

김해시 역사서 '김해시사' 공개토론회가 오늘(11일) 국립 김해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2022년 발간 예정이었던 김해시사 2권 가야사 내용이 일본의 '임나일본부설'을 인용해 일본

n.news.naver.com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420222

김해시사(金海市史) 토론회 “가야사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 - 불교신문

김해시가 추진하고 있는 김해시사(金海市史) 편찬을 두고 가야사 왜곡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가운데 올바른 김해시사 편찬을 위한 토론회가 11월11일 국립김해박물관에서 열렸다.김해시 민홍철,

www.ibulgyo.com

https://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07164

끝나지 않은 가야사 논쟁 "'가야=임나' 동일시 할수 있나?"

< 앵커 >경남 김해시 역사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가야사'를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를 놓고, '김해시사편찬측'과 '역사운동시민단체측'이 격돌했습니다.김해시 지역구의 민홍철·김정호 의원이

news.bbsi.co.kr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24257

'김해시사' 제2권 가야사 서술 부분 논란, 시민 공유 토론장 마련

제2권 가야사 서술 내용을 두고 김해시사 편찬위원회와 시민단체가 논란을 빚는 가운데 시민에게 공론화하는 토론회가 열렸다.더불어민주당 민홍철(김해갑)·김정호(김해을) 국회의원은 지난 11

www.idomin.com

https://www.newsgn.com/news/articleView.html?idxno=449146

김해시민 혈세로 김해 자긍심 갉아먹는 역사서 만든다?

김해시 세금으로 만든 김해시사(김해 역사서)가 오히려 김해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훼손한다는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이를 두고 시가 집필진 구성 등 초기 단계부터 단추를 잘못 끼웠다는 평가

www.newsgn.com

https://www.newsgn.com/news/articleView.html?idxno=449413

“김해시사 집필진 교체와 재집필이 불가피”

‘김해시사, 가야사 어떻게 서술해야 하나?’라는 주제로 시민토론회를 공동주최한 더불어민주당 민홍철·김정호 국회의원이 다시 한번 김해시사를 비판했다.이날 김정호 의원은 개회사에서

www.newsgn.com

http://news.lghellovision.net/news/articleView.html?idxno=487741

[국회는 지금]최형두 "케이블TV 지역채널 지원방안 토론회 개최"…정점식 "고성군서 당정 정책간

[앵커]우리 지역 국회의원들의 활동 소식을 전해드리는 '국회는 지금' 입니다.이번 주도 경남 지역 국회의원들은 다양한 입법 활동은 물론 토론회와 간담회 등 지역 발전을 위한 활동을 이어갔

news.lghellovision.net

https://www.newsgn.com/news/articleView.html?idxno=449413
https://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25870

‘김해시사’ 발간 앞두고 공개토론회…정반대 ‘가야사’ 역사관 드러나다 - 법보신문

경남 김해시가 추진 중인 역사서 ‘김해시사(金海市史)’ 중 제2권 가야편의 내용이 가야사와 불교사를 왜곡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지역 불교계와 시민단체에서 거세지고 있다.김해 지역 민홍

www.beopbo.com

728x90
Posted by 산해정
728x90

https://youtu.be/acumCbgMrnU?si=OITe6sRfoWO3sc3T

경남 MBC 인터뷰

728x90

'자치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사회대통합위원회 성과보고회  (48) 2024.11.25
김해시사 시민토론회  (14) 2024.11.11
김해시사토론회  (12) 2024.11.02
경남도사회통합위원회 교육청년분과회의  (14) 2024.10.30
부산의 책  (12) 2024.10.27
Posted by 산해정

250x250
블로그 이미지
이 블로그는 민주주의, 지방자치와 분권, 그리고 환경과 생태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간의 존엄성이 실질적으로 실현되는 국가와 사회를 희망합니다. 또한 나는 이 블로그를 일기장처럼 활용해 남기고 싶은 내용들을 기록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용하기 전에는 오마이뉴스 블로거로 활동을 해왔습니다만, 몇 년 전에 오마이뉴스는 블로그를 닫아서 무척 아쉬웠습니다. 그 때 이후로 세상에는 영원한 것은 없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 블로그 역시 영원하지 않을 것
산해정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